하나의 웹호스팅 계정으로 여러 개의 도메인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 의외로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입니다. 특히 비용을 절감하고 싶은 분들이나, 여러 사이트를 동시에 운영하는 분들에게 유용하죠. 하지만 설정에 실수가 생기면 도메인이 꼬이거나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웹호스팅 계정 하나로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 애드온 도메인 vs 서브도메인
하나의 호스팅 계정에서 여러 개의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기본적으로 ‘애드온 도메인’ 기능을 활용해야 해요. 이 개념부터 명확히 구분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① 애드온 도메인이란?
기존의 메인 도메인 외에, 별도의 도메인을 추가로 연결하여 독립적인 웹사이트처럼 운영하는 기능입니다. 즉,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사이트를 개별 운영할 수 있게 해줘요.
② 서브도메인과의 차이
서브도메인은 example.com 하위의 blog.example.com 같은 주소를 의미해요. 반면 애드온 도메인은 완전히 다른 도메인(example2.com)을 추가하는 개념입니다.
③ 폴더 구조 이해하기
애드온 도메인을 연결하면 기존 호스팅 계정의 하위 폴더에 새로운 루트 디렉터리가 생성돼요. 도메인마다 각각의 폴더가 따로 관리됩니다.
2. 연결하는 방법: 실제 설정 절차
대부분의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cPanel이나 자체 패널에서 애드온 도메인 설정을 지원합니다. 대략적인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① 도메인 구매 및 DNS 설정
먼저 추가로 사용할 도메인을 구매하고, 해당 도메인의 DNS를 현재 웹호스팅 계정의 네임서버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 ns1.hosting.com, ns2.hosting.com
② 호스팅 패널에서 애드온 도메인 추가
웹호스팅 계정에 로그인 → [애드온 도메인] 메뉴 선택 → 새 도메인 입력 → 자동 생성되는 폴더 확인 → 등록 완료
③ 도메인별 폴더에 각각의 사이트 파일 업로드
새로 생긴 폴더에 각각의 웹사이트를 업로드하면, 각 도메인 주소로 접속 시 해당 폴더의 콘텐츠가 보여집니다.
3. 주의사항: 실수하면 보안이나 운영에 문제 생겨요
한 호스팅 계정에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는 건 실용적이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특히 잘못된 설정은 SEO나 보안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① 리디렉션 설정 꼼꼼히
도메인 간 경로가 꼬이지 않도록 각 도메인에 고유한 index 파일과 .htaccess 설정을 확인해야 해요. 메인 도메인으로 리디렉션이 걸리면 안 됩니다.
② 이메일 기능 분리 필요
각 도메인마다 이메일 주소를 쓸 계획이라면, 이메일 호스팅도 별도로 구성하거나, 구글 워크스페이스 같은 서비스를 병행해야 합니다.
③ 트래픽 과부하에 유의
하나의 계정에 트래픽이 몰리면 전체 사이트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특히 CPU/메모리 제한이 있는 웹호스팅에서는 애드온 도메인 수를 과도하게 늘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웹호스팅 계정 하나로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식은 운영 효율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지만, 설정을 꼼꼼히 하지 않으면 보안 이슈나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각 도메인이 독립적인 콘텐츠와 SEO 구조를 가지도록 잘 관리해야 장기적으로 문제 없이 운영이 가능합니다. 처음이라면 1~2개 도메인부터 천천히 시작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FAQ
Q1. 애드온 도메인 몇 개까지 연결 가능한가요?
호스팅 요금제마다 다릅니다. 일부 공유 호스팅은 1개만 지원하거나, 무제한 지원이라고 해도 트래픽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Q2. 애드온 도메인 간에는 서로 영향을 주나요?
서로 다른 폴더에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서버 리소스는 공유하므로 한쪽 사이트의 트래픽 폭주나 보안 문제는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Q3. SEO 측면에서는 불리한가요?
아니요. 도메인마다 별도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중복이 없다면, SEO 불이익은 없습니다. 다만 리디렉션 설정이 꼬이면 검색 노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Q4. 워드프레스도 애드온 도메인에 설치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도메인마다 독립 폴더에 워드프레스 설치 후 각기 다른 사이트로 운영할 수 있어요.
Q5. 계정 하나에 몇 개까지 운영하는 게 적당할까요?
일반적인 공유 호스팅이라면 2~3개 정도까지가 안정적입니다. 트래픽이 많아지면 VPS나 클라우드 호스팅으로 이전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