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과 DNS 설정,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구조 설명

도메인을 구입하고 웹호스팅을 신청한 후, “DNS 설정을 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보면 막막했던 적 있으시죠? 용어도 생소하고, 뭐부터 해야 할지 잘 모를 수 있어요. 하지만 DNS 설정은 사이트를 실제로 ‘열리게’ 만들어주는 핵심 과정입니다. 오늘은 웹호스팅과 DNS가 어떤 관계인지, 어떻게 설정하는지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릴게요.

1. DNS란 무엇인가요?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입니다. 쉽게 말해, 사람이 읽는 도메인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IP 주소로 바꿔주는 전화번호부 같은 역할을 해요.

① 도메인과 IP 주소의 연결

웹사이트는 실제로는 IP 주소(예: 123.45.67.89)로 존재합니다. DNS는 우리가 입력한 도메인(example.com)을 해당 서버 IP 주소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② DNS가 없다면?

웹 브라우저는 IP 주소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DNS가 없다면 ‘example.com’ 같은 주소로는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③ DNS 레코드 종류 간단 정리

  • A 레코드: 도메인을 IP 주소로 연결
  • CNAME: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
  • MX 레코드: 메일 서버 연결
  • NS 레코드: 네임서버 지정

2. 웹호스팅 연결을 위한 DNS 설정 순서

웹호스팅과 도메인을 따로 구매한 경우, 반드시 DNS를 설정해줘야 도메인이 연결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설정 흐름입니다.

① 웹호스팅에서 네임서버 확인

호스팅 업체에 가입하면 보통 이메일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제공됩니다:

  • ns1.hostingcompany.com
  • ns2.hostingcompany.com

②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서 DNS 설정

도메인을 구매한 사이트(예: 가비아, 닷홈 등)에 접속해 **네임서버(NS) 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위의 네임서버 주소를 입력하면 연결됩니다.

③ DNS 전파 대기

네임서버를 변경하면 **최대 24시간까지 전파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동안은 접속이 안 되거나 기존 페이지가 열릴 수 있어요.

3. 실전 팁: 헷갈리기 쉬운 DNS 포인트 정리

처음 설정할 때 혼동하기 쉬운 부분들을 미리 정리해볼게요. 이 부분만 알아두면 DNS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① 호스팅과 도메인이 같은 회사일 경우

자동으로 DNS가 설정되기 때문에 별도 작업이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이메일 서버를 외부로 분리하고 싶을 땐 **MX 레코드 수정**이 필요할 수 있어요.

② CNAME과 A 레코드 차이

A 레코드는 도메인을 IP 주소로 직접 연결하고, CNAME은 ‘다른 도메인’을 참조해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을 example.com으로 넘기려면 CNAME을 사용해요.

③ Cloudflare 같은 CDN 사용 시 주의

CDN을 쓰면 DNS도 그 플랫폼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이 경우 호스팅에서 알려준 A 레코드를 Cloudflare에서 입력해야 제대로 연결돼요.

결론

DNS 설정은 웹사이트를 외부에 공개하는 ‘주소 설정’ 단계입니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원리는 단순합니다. **도메인을 호스팅 서버와 연결해주는 역할**이라는 점만 이해해두면, 이후 워드프레스 설치나 SSL 적용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처음에는 설정이 낯설지만, 한 번만 해보면 다음부터는 훨씬 쉬워질 거예요.

FAQ

Q1. 네임서버 설정 후 바로 연결되나요?

일반적으로 1~24시간 이내에 반영되지만, ISP에 따라 최대 48시간까지 걸릴 수 있어요.

Q2. 도메인 구매 사이트와 호스팅 업체가 달라도 괜찮나요?

네. 대부분의 경우 가능합니다. 다만 직접 네임서버 설정을 해줘야 하며, 약간의 설정 지식이 필요합니다.

Q3. DNS 설정을 잘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사이트 접속이 안 되거나 잘못된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수정 후에는 전파 시간이 있으니 변경 후 일정 시간 기다려야 합니다.

Q4. 하나의 호스팅 계정에 여러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이 경우 애드온 도메인 설정과 함께 각각 DNS도 적절히 설정해줘야 해요.

Q5. DNS 설정 없이 사이트를 만들 수 없나요?

로컬 테스트 환경에서는 가능하지만, 실제 인터넷에 공개하려면 반드시 DNS 설정이 필요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